:ledger: TIL에 대해 알아보자!

:one: TIL이 뭔가요?

TIL 이란 Today I Learned 의 약어로 오늘 경험한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다.

:two: TIL을 써야하는 이유

TIL을 써야하는 이유는 3가지로 기록, 성장, 활용이 있다.

  • 기록 : 내가 무엇을 배웠는지 기록한다.
  • 성장 : 학습한 것을 정리하며 이해도를 높이고, 복습도 가능하다
  • 활용 : 비. 스산 문제 발생 시 활용할 수 있다.

:pushpin: 내가 현재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?

현재 수많은 강의와 부트캠프, 신입 개발자들이 생겨나면서 현실의 면접관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봐야한다. 면접을 보는 사람이 어디까지 알 고 있고, 포트폴리오 또한 본인이 이해하고 작성한게 맞는지 또한 그 수 많은 지원자 중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열심히 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한다.
그렇다면 어떻게 준비를 해봐야 하는지 생각해보았을 때 신입의 입장으로서 보여줄 수 있는건 TIL 블로그를 꾸준히 작성하는 것이 성실성을 포함해 경험과 실력을 증명하는 것이 될 수 있다.

:three: TIL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?

  •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.
  • 정답이 있는것이 아니다. 처음 시도해보는 사람이라면 일단 하루에 한 번 작성을 해보는게 좋다.
    형식이 따로 있는것이 아니고 하루에 한 번씩 작성해보며 꾸준히 작성해보며 어떤 부분을 조금 더 꼼꼼히, 제대로 작성하면 좋을지 스스로 고민해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.

:four: 주제는 어떻게 정해?

오늘 경험한 내용, 배우거나 느낀 것을 작성하면 된다.

:pushpin: 4-1) 강의 내용을 정리해보자 (초기)

처음 작성을 할 때는 어떤것이 맞고 어떤것이 틀렸고 어떤것이 잘했는지 스스로 판단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.
그럴 경우에는 강의를 보며 공부하거나 혼자서 무언가를 배웠을 때 그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 좋다. 아래는 예시다.

  1. 오늘 배운 것 : 오늘은 자바스크립트 변수에 대해서 학습했다.
  2. 개념 정리 : 변수란 가변적인 값을 저장하는 식별자(대상 및 공간)이다.
  3. 해당 개념이 필요한 이유 : 코드의 재활용으로 중복을 제거하고 유지보수가 쉬워지며, 데이터에 이름을 지어 가독성을 높인다.
  4. 사용법 : var,let,const 를 가장 왼쪽에 작성한다. 등등…

:pushpin: 4-2) 개발 단계 정리

개발 단계에서 무언가를 설치하거나 세팅한 내용을 정리해보며 복습할 수 있고 다음에 까먹었을 때 작성했던 글을 보며 복습할 수 있다. 아래는 예시다.

  1. 설치하기 : yarn add redux react-redux
  2. 초기 세팅하기 : 코드 작성
  3. OO 만들기 : 코드 작성

:pushpin: 4-3) 하루 회고

하루 회고는 꼭 코딩에 관련된 내용이 아니어도 된다. 오늘 경험했던 일을 작성하며, 느낀점과 문제가 생겼으면 해결방안까지 작성하는 것이다.
아래는 예시다.

  1. 오늘 있었던 일을 정리한다.
    • 예) 오늘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소통 오류로 어려움이 있었다.
  2. 오늘 발생한 일에 대한 느낀 점을 작성한다.
    • 예) 단순히 말로만 전달하는 것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.
  3. 문제에 대해 앞으로 개선 방안을 정리해본다.
    • 예) 앞으로 회의 중 문서를 작성하여 모든 사람들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.

:pushpin: 4-4) 문제 해결 과정 (권장)

문제 해결 과정은 작업 중 문제가 생겼을 때(간단한 오류라도 좋다)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과정을 작성하는것이다.
보통 작업하면서 바로바로 수정하며 진행하느라 나중에 작성하기 어려운데, 주석으로 내용을 정리하며 진행하면 좋을 것 같다. 아래는 예시다.

  1. 발생한 문제(에러 및 버그)가 무엇인지 작성한다.
    • Uncaught TypeError: ~~ is not a function 이라는 에러가 발생햇다.
  2. 문제가 발생한 코드를 작성한다.
    • (코드 작성)
  3. 위의 코드에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가설을 세운다.
    • 위 에러메시지는 내가 작성한 코드가 “함수가 아니다”라는 의미이다. 즉, 함수가 아닌 것을 함수처럼 사용했다는 것일 것이다.
  4. 문제의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작성한다.
    • 함수 이름에 오타가 있어서 컴퓨터가 함수가 아니라는 오류를 보내준 것이다.
  5. 문제 해결 과정 중 느낀 점, 개선 방안이 있으면 작성한다.
    • 급하게 코드를 치지 않고 오타를 꼼꼼히 확인해봐야겟다.
    • 오타를 잡아주는 visual studio code extension을 설치하여 오타 발생률을 낮춰야겠다.
    • typescript를 적극 활용해야겠다.

:five: 마무리

일주일 전에 무엇을 했는지 기억할 수 있을까? 솔직히 나는 아닌 것 같다.
결국 TIL을 작성한다는 나의 경험을 기록한다는 것이며 내가 무언가 문제를 마주했을 때 머릿속으로 기억할 수 없다면 TIL을 통해 문제를 조금 더 쉽게 해결할 수 있고 이 과정이 쌓이고 쌓일수록 누군가에겐 나를 표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.
글을 작성할 때 꼭 다른 사람에게 보여준다는 생각을 하기보다는 미래의 나에게 도움을 주고있다고 생각하며 솔직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.

자료 참고: [240716] TIL 특강 - 예병수 튜터님

태그:

카테고리:

업데이트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