깃(Git) Restore 사용법
깃(Git) 의 유용한 명령어 Restore!
Git Restore 이란?
git restore
는 git switch
와 같이 Git의 새로운 명령어 중 하나로, 작업 디렉토리의 파일 변경사항을 되돌리거나 스테이징 영역에서 파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.
이 명령어는 기존의 git checkout과 git reset 명령어의 일부 기능(특정 커밋으로 변경)을 대체하며, 보다 명확한 사용 목적을 가지고 있다.
Git Restore 사용법
2-1) 작업 디렉토리의 변경사항 되돌리기
작업 중인 파일의 변경사항을 되돌리려면 다음과 같이 git restore
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.
git restore 파일명
git restore example.txt // 예시
이 명령어는 example.txt 파일의 변경사항을 되돌리고, 파일을 마지막 커밋 상태로 되돌린다.
2-2) 스테이징 영역에서 파일 제거하기
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을 스테이징에서 제거하려면 –staged 옵션을 사용하면된다.
git restore --staged 파일명
git restore --staged example.txt // 예시
이 명령어는 example.txt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서 제거하고, 파일의 변경사항을 유지한다.
2-3) 특정 커밋으로 되돌리기
특정 커밋의 상태로 파일을 되돌리려면 --source
옵션을 사용하면된다.
git restore --source=커밋 해시 파일명
git restore --source=aaabb111 example.txt // 예
이 명령어는 example.txt
파일을 aaa111
커밋의 상태로 되돌립니다.
2-4) 디렉토리 변경사항 전체 되돌리기
디렉토리 전체의 변경사항을 되돌리려면 디렉토리명을 명시한다.
git restore 디렉토리명
git restore src/ // 예시
이 명령어는 src
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의 변경사항을 되돌린다.
주의사항
- git restore는 작업 중인 파일의 변경사항을 되돌리기 때문에, 되돌리기 전에 중요한 변경사항은 커밋하거나 별도로 저장해 두는 것이 좋다.
- 이 명령어는 Git 2.23.0 이상 버전에서 사용 가능하며, Git 버전을 확인하려면
git --version
명령어를 사용해서 확인한다.
마무리
git restore
명령어는 파일의 변경사항을 쉽게 되돌리고, 스테이징 영역에서 파일을 제거하는 등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.
기존의 git checkout
과 git reset
명령어의 일부 기능을 보다 명확하게 분리하여 사용하기 쉽게 만든 명령어로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자!